[Korean] White Paper
The Ethereum Wiki. Contribute to ethereum/wiki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더리움(Ethereum)은 블록체인 기반의 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알고리즘을 이용해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화폐인 '이더(ETH)'를 통해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하거나 다른 암호화폐의 기반으로 사용됩니다.
1. 이더리움의 역사
이더리움은 비탈릭 부테린이 2013년에 백서를 작성하여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비탈릭은 비트코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더 많은 기능을 가진 새로운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안했습니다. 이더리움은 2015년에 공식적으로 출시되었고, 지금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가 총액을 가진 암호화폐 중 하나입니다.
2. 스마트 컨트랙트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더리움이 가장 중요하게 강조하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으로,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특정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기능 덕분에 이더리움은 투명하고 변조 불가능한 디지털 계약을 제공하며, 중앙집중적인 심사나 승인 과정 없이 트랜잭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이더(ETH)
이더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입니다. 이더는 네트워크 내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거나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가스'의 비용을 지불하는 데 사용됩니다.
4. 이더리움의 응용 프로그램
이더리움의 유연성과 범용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센트럴라이즈드 파이낸스(DeFi), 디지털 아트와 관련된 NFT(Non-Fungible Token), 탈중앙화된 조직(DAO), 투표 시스템 등에서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5. 디센트럴라이즈드 파이낸스(DeFi)
디센트럴라이즈드 파이낸스(DeFi)는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의 기능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구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더리움 기반의 DeFi 애플리케이션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중앙 기관의 개입 없이 투명하게 금융 거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대출, 예금, 보험, 거래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가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6. NFT (Non-Fungible Token)
NFT는 이더리움에서 만들어진 특수한 유형의 토큰입니다. 이러한 토큰은 각각 고유하며, 다른 토큰과 교환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NFT는 디지털 아트, 음악, 도메인 이름 등 고유한 자산을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7. 탈중앙화된 조직 (DAO)
DAO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구성된 자율적인 조직을 의미합니다. 이더리움에서는 DAO를 위한 코드를 작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 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DAO는 회원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을 내리며, 이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변조가 불가능합니다.
8. 이더리움 2.0과 Proof of Stake
이더리움은 현재 새로운 버전인 이더리움 2.0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2.0의 핵심 변경 사항 중 하나는 합의 알고리즘의 변경으로, 기존의 작업 증명(Proof of Work)에서 지분 증명(Proof of Stake)으로 전환합니다. 이 변경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며, 거래 처리 속도를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개방형 플랫폼으로, 스마트 컨트랙트와 이더 등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다양한 응용 분야를 탐색합니다. 이더리움의 핵심 기능은 블록체인의 투명성, 안전성, 탈중앙화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중앙 통제 없이 자신들의 디지털 자산과 계약을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이더리움은 디지털 금융 서비스, 디지털 아트, 자율적 조직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디지털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더리움과 관련된 기술은 복잡하고, 개발과 실험 단계에 있으므로, 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는 신중함이 요구됩니다.
또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보안, 효율성,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더리움 2.0으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단계로, 이더리움의 진화와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은 변동성이 크고, 법적인 규제도 계속 변하고 있으므로, 이더리움과 같은 플랫폼에 투자하기 전에 충분한 연구와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더리움의 미래는 그 기술적 가능성, 규제 환경, 시장 수용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블록체인 (Block Chain) > 이더리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리디티 입문] 3. 글로벌 네임스페이스 (0) | 2023.06.16 |
---|---|
[솔리디티 입문] 2. 참조형(reference type) (0) | 2023.06.16 |
[솔리디티 입문] 1. 값형(value type) (0) | 2023.06.16 |
솔리디티 (Solidity) (0) | 2023.06.16 |
리믹스 (Remix)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