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추천 시스템은 그동안 협업 필터링이나 콘텐츠 기반 필터링 같은 전통적인 기법으로 발전해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활용해 더 정교하고 개인화된 추천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딥러닝 기반 추천 시스템의 개념과 대표 모델들, 그리고 TensorFlow 실습까지 함께 다뤄보겠습니다.
1️⃣ 딥러닝 기반 추천 시스템 개요
기존의 추천 시스템은 주로 행렬 분해(Matrix Factorization)와 같은 선형 모델에 기반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의 행동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기에, 비선형적인 복잡한 패턴을 학습할 수 있는 딥러닝이 강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딥러닝 추천 시스템의 주요 장점
장점 | 설명 |
✅ 비선형 관계 학습 | 복잡한 사용자-아이템 관계를 다층 구조로 표현 가능 |
✅ 다양한 정보 통합 | 평점뿐 아니라 텍스트 리뷰, 이미지, 클릭 로그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 가능 |
✅ 고도화된 개인화 | 사용자별 특징을 정밀하게 반영하여 더 정교한 추천 가능 |
2️⃣ 대표적인 딥러닝 추천 모델
✅ Neural Collaborative Filtering (NCF)
- 전통적인 행렬 분해를 신경망(Multi-Layer Perceptron)으로 일반화한 모델입니다.
- 사용자와 아이템을 벡터로 임베딩한 후, 이들을 조합하여 다층 퍼셉트론(MLP)을 통해 선호도를 예측합니다.
✅ Autoencoder 기반 추천
- 사용자-아이템 행렬을 압축(인코딩)하고 복원(디코딩)하면서 잠재 요인(latent factors)을 추출합니다.
- 결측값이 많은 평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으며, 비선형 구조의 데이터 복원 능력이 뛰어납니다.
✅ Seq2Seq / Transformer 기반 추천
- 사용자의 행동을 시계열 데이터로 보고, 다음 행동을 예측합니다.
- RNN, LSTM, Transformer 등의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관심 변화 흐름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실습: TensorFlow/Keras로 NCF 구현해보기
이번 실습에서는 딥러닝 기반 추천 시스템 중 Neural Collaborative Filtering(NCF)을 구현해보겠습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tensorflow.keras.models import Model
from tensorflow.keras.layers import Input, Embedding, Flatten, Dense, Concatenate
# 데이터 설정
num_users = 1000 # 사용자 수
num_items = 500 # 아이템 수
embedding_dim = 16 # 임베딩 차원
# 입력 정의
user_input = Input(shape=(1,))
item_input = Input(shape=(1,))
# 사용자, 아이템 임베딩
user_embedding = Embedding(input_dim=num_users, output_dim=embedding_dim)(user_input)
item_embedding = Embedding(input_dim=num_items, output_dim=embedding_dim)(item_input)
# 벡터 형태로 변환
user_vec = Flatten()(user_embedding)
item_vec = Flatten()(item_embedding)
# 신경망 연결
concat = Concatenate()([user_vec, item_vec])
hidden = Dense(64, activation="relu")(concat)
hidden = Dense(32, activation="relu")(hidden)
output = Dense(1, activation="sigmoid")(hidden)
# 모델 구성
model = Model(inputs=[user_input, item_input], outputs=output)
model.compile(optimizer="adam", loss="binary_crossentropy", metrics=["accuracy"])
# 모델 구조 출력
model.summary()
🔍 설명
- 사용자와 아이템은 각각 임베딩 레이어를 통해 벡터로 변환됩니다.
- 이 벡터들을 합친 뒤, 다층 신경망 구조(MLP)를 통과시키며 예측을 수행합니다.
- 최종 출력은 0~1 사이의 확률 값으로,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호할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실제 데이터셋을 활용할 경우에는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고, 평가 지표(정확도 외 RMSE 등)도 함께 설정해야 합니다.
🏆 오늘의 핵심 요약
항목 | 설명 |
✅ 딥러닝 기반 추천 시스템 | 복잡한 사용자 행동 패턴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
✅ 대표 모델 | Neural Collaborative Filtering, Autoencoder, Seq2Seq, Transformer 등 다양한 구조 사용 가능 |
✅ 실습 | TensorFlow/Keras를 사용해 사용자-아이템 기반 신경망 모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728x90
반응형
LIST
'인공지능 (AI) > 머신러닝 (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 모델 선택과 최적화도 자동으로 끝내기: AutoML 이해하기 (0) | 2025.04.04 |
---|---|
17 - 모델을 운영하는 법까지 배워야 하는 이유: MLOps 이해하기 (0) | 2025.04.04 |
15 - GPT-4 그 너머: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미래와 실전 활용법 (1) | 2025.04.04 |
14 - 인간처럼 글을 쓰는 인공지능: GPT의 원리와 활용 (1) | 2025.04.04 |
13 - BERT와 GPT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Transformer 모델의 이해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