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브릭스 vs Snowflake, BigQuery, Redshift, Fabric
“모든 도구는 훌륭하다. 중요한 건 당신에게 맞는 도구인가다.”
왜 비교가 필요한가?
데이터 플랫폼 선택은 단순한 기술 선택이 아니라, 데이터 전략 그 자체입니다. 한 번 구축하면 쉽게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처음 선택할 때 다음을 잘 고려해야 합니다:
- 팀 구성과 기술 스택
- 주로 사용하는 데이터 유형과 분석 방식
- AI/ML 적용 여부
- 예산과 예측 가능성
- 기존 클라우드 인프라 연계성
이번 글에서는 Databricks, Snowflake, Google BigQuery, Amazon Redshift, Microsoft Fabric 등 대표 플랫폼들을 다음 4가지 기준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 기능 및 아키텍처
- 가격 모델
- 성능 및 확장성
- 사용성 (UX/UI)
1. 기능 및 아키텍처 비교
항목 | Databricks | Snowflake | BigQuery | Redshift | Fabric |
아키텍처 | Lakehouse (Delta Lake + Spark + Photon) | Data Warehouse, + Snowpark | Serverless DWH | 클러스터/서버리스 DWH | OneLake 기반 통합 SaaS |
저장 포맷 | Delta Lake (오픈소스, ACID 지원) | Protobuf 기반 내부 포맷 | Colossus 기반 | Columnar | OneLake (Parquet 등) |
ML 지원 | MLflow, AutoML, 노트북 통합 | 기본 없음 (외부 연동) | BigQuery ML 내장 | SageMaker 등 외부 사용 | AutoML, Copilot 연동 |
BI/대시보드 | 기본 시각화 + 외부 연동 | Snowsight (웹 UI) | Looker Studio 등 별도 | Quicksight 등 외부 | Power BI 통합 |
스트리밍 | Structured Streaming | 약함 | 제한적 (Pub/Sub 연동) | Kinesis 연동 | Fabric Event Stream |
특징 | AI/ML + 엔지니어링 + 분석 통합 | SQL 분석 특화, 자동 최적화 | 서버리스 + 대규모 분석 강점 | AWS 연계 강점, 튜닝 가능 | MS 생태계 기반 통합 UI |
✅ Databricks는 AI/ML과 엔지니어링을 함께 하려는 조직에,
✅ Snowflake는 분석 중심 SQL 워크로드에,
✅ BigQuery는 간헐적 대용량 분석에,
✅ Redshift는 AWS 중심 조직에,
✅ Fabric은 MS Office 기반 조직에 특히 강점을 가집니다.
2. 가격 모델 비교
항목 | Databricks | Snowflake | BigQuery | Redshift | Fabric |
과금 기준 | DBU(사용 단위) + 클라우드 인스턴스 | 크레딧 기반 컴퓨팅 시간 | 쿼리 데이터 스캔량 or 슬롯 정액제 | 노드 기반(클러스터) 또는 처리량 기반(서버리스) | 용량(Capacity Unit) 기반 |
유휴 과금 | 유휴 시에도 클러스터 비용 발생 가능 | 자동 중지로 비용 절감 용이 | 서버리스, 유휴 시 0원 | 서버리스 모드에서만 유휴 비용 없음 | 고정 용량 모델 (예측 용이) |
비용 예측 | 유연하지만 복잡함 | 상대적으로 쉬움 | 분석 패턴에 따라 차이 큼 | 클러스터 관리 시 예측 어려움 | 예측 가능성은 높음 |
💡 Snowflake와 BigQuery는 비용 예측성과 자동 절전 기능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반면, Databricks는 유연한 요금제지만 적절한 클러스터 설정이 중요합니다.
3. 성능 및 확장성 비교
항목 | Databricks | Snowflake | BigQuery | Redshift | Fabric |
쿼리 성능 | Photon 엔진 (고속 SQL) | 고속 SQL, 자동 튜닝 | 대규모 스캔 최적화 | 튜닝 시 고성능 | 중규모 워크로드 적합 |
확장성 | 컴퓨팅/스토리지 분리, 탄력 확장 | 멀티 클러스터 구조, 자동 확장 | 서버리스로 무제한 확장 | Concurrency Scaling, 서버리스 | 자동 확장 지원 |
ML 워크로드 | 고성능 분산 학습 환경 (노트북 + GPU) | 외부 연동 필요 | BQML (경량) | SageMaker 연동 | AutoML 연동 (제한적) |
실시간 처리 | Structured Streaming | 거의 없음 | 일부 제한적 | 가능 (Kinesis) | 실시간 스트림 전용 기능 있음 |
✅ 실시간성과 ML 연계가 중요한 조직은 Databricks,
✅ 단순 SQL 대용량 분석은 Snowflake나 BigQuery가 적합합니다.
4. 사용성 및 UI 비교
항목 | Databrick | Snowflake | BigQuery | Redshift | Fabric |
UI 직관성 | 노트북 + SQL 통합, 풍부하지만 학습 필요 | Snowsight UI 깔끔, 초심자 친화 | UI 간결, 기능은 제한적 | AWS 콘솔 복잡함 | Power BI 기반 UI, 직관적 |
사용자 인터페이스 | 분석가/엔지니어 모두에 적합 | SQL 사용자 최적화 | SQL 중심, ML은 약함 | 개발자 친화적 | 비즈니스 사용자 최적화 |
협업 기능 | 실시간 공동 편집, Git 연동, Jobs 공유 | SQL 공유, 대시보드 공유 | 별도 도구 필요 | 약함 | MS Teams 등과 연동 용이 |
✅ 협업/AI/유연성은 Databricks,
✅ SQL 중심 간결함은 Snowflake,
✅ MS Office 기반 익숙함은 Fabric이 앞섭니다.
종합 비교 요약
플랫폼 | 강점 | 약점 | 적합한 조직 |
Databricks | AI/ML 통합, 확장성, 오픈성 | 비용 통제 어려움, 학습 곡선 | 엔지니어링+AI 중심 데이터팀 |
Snowflake | SQL 최적화, 사용 편의성 | ML/스트리밍 약함 | BI 중심 분석팀 |
BigQuery | 서버리스 확장성, 간편성 | 실시간성 약함 | 간헐적 대량 분석 중심 조직 |
Redshift | AWS 통합, 저렴한 클러스터 | 관리 복잡, 자동화 약함 | AWS 기반 대규모 시스템 |
Fabric | MS 통합, 쉬운 UI | ML/실시간 분석 부족 | MS 365 기반 비즈니스 조직 |
최종 판단을 위한 3가지 질문
- 우리는 AI/ML을 어느 정도 활용할 것인가?
→ 많이 한다면 Databricks, 거의 없다면 Snowflake/BigQuery - 우리는 SQL 기반 분석이 주인가, 데이터 파이프라인과 실시간 처리가 중요한가?
→ 전자면 Snowflake, 후자면 Databricks - 조직은 어떤 생태계 기반인가? (AWS, GCP, MS?)
→ 인프라 연계성도 중요 포인트
다음 편 예고: 진짜 성공한 기업들은 어떻게 썼나?
이번 편까지 벤치마킹의 기반 정보를 쌓았다면, 다음은 실전 사례입니다.
9편에서는 라이엇 게임즈, Shell, Finda, Columbia Sportswear 등 실제 기업들이 데이터브릭스를 통해 어떻게 혁신을 이뤘는지, 구체적인 성공 사례를 소개합니다.
다음 글: 9 - 데이터브릭스, 산업을 바꾸다
'데이터 과학 (Data Science) > 데이터브릭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 데이터브릭스 도입, 망설여진다면? (0) | 2025.04.03 |
---|---|
9 - 데이터브릭스, 산업을 바꾸다 (1) | 2025.04.03 |
7 - 함께 일하는 방식의 혁신 (0) | 2025.04.03 |
6 - 당신의 역할에 맞는 데이터브릭스 활용법 (0) | 2025.04.03 |
5 - 데이터브릭스의 심장 (0) | 2025.04.03 |